본문 바로가기
물리 이야기/일반대학물리 실험

01. 길이측정

by 베르나르 단테 2021. 4. 19.
728x90
반응형

물리 실험에 앞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유효 숫자와 단위이다.

모든 실험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져야 하는 것이며 측정의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1. 유효 숫자

  -측정값이나 계산 값에서 신뢰할 수 있는 숫자를 말한다.

길이를 측정할 때 생기는 예를 들어 보면,

 

같은 물건의 길이를 측정 하더라도 측정도구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숫자가 달라 진다.

위 그림에서 측정된 연필의 길이는 얼마 인가?

앞선 그림의 자는 가장 작은 눈금이 0.5이기 때문에 측정 오차가 ±0.5인 자가 되고 참값은 15.0 ~ 15.5 사이에 있게 된다.

두 번째 자는 가장 작은 눈금이 0.25이기 때문에 측정 오차가 ±0.25인 자가 되고 참값은 15.0 ~ 15.25 사이에 있게 된다.

같은 크기의 물체를 측정하더라도 측정 도구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수치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오차는 항상 존재하게 된다.  오차의 자릿수와 같거나 작은 자릿수의 수치는 신뢰할 수 없다.

위의 첫 번째 자를 본다면  15.1이라는 측정값의 오차가 ±0.5인 경우, 정확한 값은 15.0와 15.5 사이에 존재한다.

오차의 영향을 받는 마지막 자리의 1이라는 숫자는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숫자는 1과 5 두 자리가 되고, 1.5 × 10으로 나타낸다.

유효숫자의 가장 끝자리 수는 그다음 자리의 수를 반올림하고 이때 정도의 오차는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측정값이나 근삿값을 표기할 때 유효숫자만 표기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표현 법은 [유효숫자 x 자릿수]가 된다. 

1500g을 유효 숫자 2개 일 때와 3개 일 때를 보자면 다음과 같다.

2. 유효숫자의 사칙연산

 사칙연산 중에 +,- 를 할 때는 연산을 하는 유효 숫자의 자릿수를 따라간다. 

 유효숫자의 가장 낮은 자리는 두 숫자의 유효숫자의 가장 낮은 자리 중 높은 쪽을 따르게 된다

     123 + 5.35 = 128

  123과 5.35 중에 123의 3이 신뢰를 못하는 수 중에 자릿수가 높기 때문에 128.35에서 1의 자리까지인 128을 표기한다.

  × ,÷ 를 할 때는 연한을 하는 유효숫자의 유효 숫자의 개수를 따라간다.

  유효숫자의 개수는 두 숫자의 유효숫자의 개수 중 적은 쪽을 따르게 된다.

     5.5 × 6.42 =35

  5.5와 6.42 중에 5.5의 유효숫자 개수가 적기 때문에 35.31에서 유효숫자 2개인  35를 표기한다.

 사칙연산에서 이러한 이유는 측정에 대한 신뢰 값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다.

 

3. 지수를 나타내는 접두어

국제단위계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에서 각 단위의 크기를 쉽게 나타내기 위해

각 단위마다 앞에 붙여 쓰는 접두어가 있다.

SI 접두어

도로의 자동차 속도 표지 판의 50km/h에서 k가 킬로로 

킬로를 기준으로 킬로보다 높은 수는 대문자로 킬로부터 낮은 수는 소문자로 표기된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꼭 기억해야 한다.

우리의 생활에서 이런 접두어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컴퓨터 하드 디스크 용량을 이야기할 때 1 테라, 2 테라의 테라가 10^12 바이트를

32기가 USB 할 때 기가는 10^9 바이트를 의미한다.

은나노 코팅이라고 표현할 때 나노는 10^-9m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000cm는 1000m , 1km 이런 식으로 줄여서 사용을 할 수 있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길이 측정 도구.

1. 버니어 캘리퍼스 (Vernier callipers)

  - 캘리퍼스는 작은 치수를 잴 때 쓴다.

    내경 외경 깊이 등을 잴 수 있으며 캘리퍼스의 종류 또한 모양에 따라 내결 캘리퍼스 , 외경 캘리퍼스 등등이 있다.

    버니어 캘리퍼스 이런 캘리퍼스 중 한 가지

버니어 캘리퍼스 (Vernier callipers)
버니어 캘리퍼스 각 부위 명칭

◎ 버니어 캘리퍼스 읽는 법  

 

버니어 캘리퍼스 읽는 법

  1. 어미자의 눈금은 1mm, 아들자의 눈금은 0.05mm 간격
  2. 아들자의 0이 가리키는 어미자의 눈금을 찾아 값을 읽는다. (소숫점 앞자리)
  3. 어미자와 아들자의 눈금선이 일치하는 곳을 찾아 값을 읽는다   (소숫점 아랫자리)

 

◎ 버니어 캘리퍼스 사용 예

 첫번째 사진 부터 외경(바깥 길이), 내경(안쪽 길이), 깊이 측정

 

2.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구.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마이크로미터 각부 명칭

 영점 보정

  물체를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로 돌렸을 때 눈금이 0을 가리키지

  않는다면 측정 후 그 값만큼 더하거나 빼 주어야 한다

마이크로미터 영점 보정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읽는 법

마이크로미터 읽는 법

  1. Sleeve 눈금은 0.5mm, Thimble 눈금은 0.01mm 간격
  2. Sleeve의 눈금 값을 눈으로 구별할 수 있는 만큼 읽는다
  3. Sleeve와 Thimble 눈금선이 일치하는 곳의 값을 읽는다

----------------------------------------------------------------------------------------------------------------------

이번에는 유효 숫자, 접두어, 버니어 캘리퍼, 마이크로미터를 알아보았다.

실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실수가 많은 부분이니 꼭 숙지를 하기 바란다.

 

반응형